[Inflearn]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Nginx 입문/실전
·
Back-End
inflearn: https://www.inflearn.com/course/비전공자도-이해-nginx-입문-실전/dashboard수업 자료: https://jscode.notion.site/16011062ff0780aa87a3e879cb3ef482Preview내가 Nginx 를 처음으로 접한 경험은 Docker Private Image Registry 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HTTPS 인증서 적용을 위해 Nginx를 잠깐 경험해봤다.실무에서는 주로 아파치(Apache) 를 웹서버로 사용해서 사용할 기회가 없었는데 예제를 통해 잠깐 경험해보니 충분히 공부할 가치가 높다고 생각했다. 백엔드 개발자 입장에서 웹서버 + 리버스 프록시 + 로드밸런서 기능까지 3 in 1 으로 쓸 수 있으니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느..
[Inflearn]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B 설계 입문/실전
·
Back-End
inflearn : https://www.inflearn.com/course/비전공자-db-설계-입문/dashboard수업 자료: https://jscode.notion.site/d551b000ffac42879d8630cd7edd618fPreview회사에서 무작정 DB 설계를 시작했고 학부시절 그리고 자격증 취득 과정에서 배웠던 개념은 머릿속에서 떠난지 오래다. 이미 어느정도 정규화 하는 절차에 대해서 알고 있었지만 개념적인 부분을 공부해서 조금 다듬을 필요가 있었다. 강의시간이 너무 길지도 않고 단순 이론에 치중하지도 않고 실무 위주의 강의를 찾던 중 해당 강의를 찾게 되어 학습하게 되었다.Introduce공부는 어렵게 해야 한다.코딩 공부를 할 때 단순 듣기와 단순 코드 따라치기가 가장 비효율적인 공..
[nGrinder] API Performance Testing
·
Back-End/API
API Performance TestingAPI 성능 테스트(API Performance Testing)는 API가 높은 부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주요 목표는 응답 시간(Response Time), 처리량(Throughput), 동시 사용자 수(Concurrency), 그리고 리소스 사용률(CPU, 메모리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주요 테스트 유형으로는 부하 테스트(Load Testing),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ing), 스파이크 테스트(Spike Testing), 지속 테스트(Soak Testing) 가 있다.nGrindernGrinder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The Grinder 기반의 오픈소스 부하 테스트 도구이며, 분산 환경에서 대규모 부하 테스트를 쉽게 수..
[DB] Redis DB 기초
·
Back-End/DB
Redis 란? Redis(Re mote Di ctionary S erver)는 오픈 소스 인메모리 데이터 저장소 및 캐싱 시스템으로,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며 높은 성능과 속도를 제공한다.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Redis는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므로 빠른 데이터 액세스를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 작업 및 캐싱에 특히 유용하다.다양한 데이터 구조Redis는 문자열, 리스트, 해시, 집합, 정렬된 집합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므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다.지속성Redis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지속성을 보장한다.높은 가용성Redis는 마스터-슬레이브 복제 및 클러스터링을 지원하여 고가용성 아키텍처를 구축할 수 있다.풍부한 클라..
[Laravel] Laravel 프로젝트에 Swagger 적용
·
Back-End/Laravel
본 게시글은 Laravel에서 사용하는 아키텍처 방식인 RESTful API를 문서화하고 자동화 테스트를 하기 위한 글이다. 도입 배경은 RESTful 아키텍처로 운영하게 되면 API에 대한 문서가 필요한데 SpreadSheet 형태로 작성하여 관리하면 즉각 적용하기도 어렵고 API 테스트를 위해 POSTMAN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면 테스트를 진행하면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실행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RESTful API 문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빠르게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swagger 프레임 워크를 이용한다. 용어정리 Open API : 단어 그대로 “개방된 API”를 의미함. 즉,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API의 Endpoi..
[Laravel] Laravel 형상관리
·
Back-End/Laravel
Laravel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협업과 형상관리를 위해서는 GitHub와 GitLab에 업로드하여 진행하게 된다. 본 게시글에서는 Git을 통해 업로드한 Laravel 프로젝트를 Clone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GitLab 혹은 GitHub에 Docker 기반의 개발환경 프로젝터를 업로드 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github] 깃허브에 라라벨 프로젝트 올리기로컬에 만들어 놓은 라라벨 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리기 github에 가입하기 https://github.com/ github에 repository 만들기 가입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좌측의 New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소 생성페이지로taengsweb.tistory.com Laravel 프로젝트를 git에 업로드하면..
[Laravel] Eloquent Model 작성
·
Back-End/Laravel
Laravel 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상호작용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크게 쿼리빌더(Query Builder)와 옐로퀸트 모델(Eloquent Model)이 있다. 옐로퀸트는 라라벨에서 제공하는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응하는 모델(Model)의 프로퍼티에 매핑되는 액티브레코드 ORM이다. 큰 설명 필요없이 예제를 통해 감을 익혀본다. DB table 생성 먼저 예제로 사용할 테이블을 수동으로 생성한다.user 테이블에 id(int), name(varchar) phone(varchar) (PRI:id) 컬럼을 추가한다. model 생성 php artisan 을 통해 아래 명령어로 모델을 생성한다. (꼭 테이블 이름로 할 필요는 없다.)..
[Laravel] Laravel 설치 및 개요
·
Back-End/Laravel
설치 라라벨 설치 방식에는 홈스테드, 라라벨 세일, 로컬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홈스테드 설치 방식은 vmbox, Parallels, vmware 중 하나의 가상환경과 베이그런트가 필요하다.홈스테드(Homestead)는 vagrant 의 설정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라라벨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프로젝트로 홈스테드를 사용하면 가상 머신에 다음과 같이 우분투 운영체제, 웹서버, DBMS, PHP 스택이 자동으로 설치 및 설정이 완료된다.베이그런트는 개발환경 등 가상화 환경을 구성할 때 미리 정의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라라벨 세일 설치방식은 Docker container 가상환경에서 라라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로컬 설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