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IoTNetwork
- 3D 프린터 용어
- 3D프린터입문
- Notification
- gitlab
- kubernetes
- 네이버클라우드
- 3D
- 3D프린터
- 3D모델링
- nas
- 3D프린터 입문
- Token인증방식
- linux job
- ci/cd
- github
- 리눅스 파일동기화
- octoprint
- docker
- NAS HDD교체
- Kotlin
- C언어
- OnlineIDE
- Jenkins
- docker container
- git
- 3d프린터 초보
- 코틀린개발환경
- 데이터 직렬화 포맷
- data serialization formats
Archives
- Today
- Total
0과 1을 공부하다.
[Kube] Kubernetes - Service / Volume (7) 본문
728x90
본 게시글은 인프런 subicura 강사님의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강의 수강 후 작성한 내용입니다.
Service
- Pod은 자체 IP를 가지고 다른 Pod과 통신할 수 있지만, 쉽게 사라지고 생성되는 특징 때문에 직접 통신하는 방법은 권장하지 않는다.
- 쿠버네티스는 Pod과 직접 통신하는 방법 대신, 별도의 고정된 IP를 가진 서비스를 만들고 그 서비스를 통해 Pod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노출 범위에 따라 CluterIP, NodePort, LoadBalancer 타입으로 나눈다.
Service(ClusterIP)
- CluterIP는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redis
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counter
tier: db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counter
tier: db
spec:
containers:
- name: redis
image: redis
ports:
- containerPort: 6379
protocol: TCP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redis
spec:
ports:
- port: 6379
protocol: TCP
selector:
app: counter
tier: db
구분자: 하나의 YAML파일에 여러 개의 리소스를 정의할 땐 "---"를 구분자로 사용한다.
CluterIP 서비스 옵션
spec.ports.port | 서비스가 생성할 Port |
spec.ports.targetPort | 서비스가 접근할 Pod의 Port (기본: port랑 동일) |
spec.selector | 서비스가 접근할 Pod의 label 조건 |
counter app Pod에서 redis Pod으로 접근이 되는지 테스트 해본다.
$ kubectl apply -f counter-app.yml
# counter app에 접근
$ kubectl get po
$ kubectl exec -it counter-<xxxxx> -- sh
# curl localhost:3000
# curl localhost:3000
# telnet redis 6379
dbsize
KEYS *
GET count
quit
Service를 통해 Pod과 성공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한다.
$ kubectl get endpoints
$ kubectl get ep #줄여서
# redis Endpoint 확인
$ kubectl describe ep/redis
Service(NodePort)
- CluterIP는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 클러스터 외부(노드)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NodePort 서비스를 사용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counter-np
spec:
type: NodePort
ports:
- port: 3000
protocol: TCP
nodePort: 31000
selector:
app: counter
tier: app
정의 설명
spec.ports.nodePort | 노드에 오픈할 Port (미지정시 30000-32768 중에 자동 할당) |
counter app을 해당 노드의 31000으로 오픈한다.
$ kubectl apply -f counter-nodeport.yml
# 서비스 상태 확인
kubectl get svc
minikube ip로 테스트 클러스터의 노드 IP를 구하고 31000으로 접근한다.
$ curl 192.168.64.4:31000 # 또는
<http://192.168.64.4:31000> # 브라우저에서 접근한다.
Service(LoadBalancer) 만들기
- NodePort의 단점은 노드가 사라졌을 때 자동으로 다른 노드를 통해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 예를 들어, 3개의 노드가 있다면 3개 중에 아무 노드로 접근해도 NodePort로 연결할 수 있지만 어떤 노드가 살아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 자동으로 살아 있는 노드에 접근하기 위해 모든 노드를 바라보는 Load Balancer가 필요하다.
- 브라우저는 NodePort에 직접 요청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Load Balancer에 요청하고 Load Balancer가 알아서 살아 있는 노드에 접근하여 NodePort의 단점을 제거한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counter-lb
spec:
type: LoadBalancer
ports:
- port: 30000
targetPort: 3000
protocol: TCP
selector:
app: counter
tier: app
ingress
- Ingress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서비스로 HTTP 및 HTTPS 경로를 통해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 Ingress는 특정 URL 경로 또는 호스트 이름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며, 부하 분산, SSL 종단, 이름 기반 가상 호스팅 등을 제공할 수 있다.
- Ingress를 사용하면 여러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하나의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여러 서비스를 운영하는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다.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name: echo-v1
spec:
rules:
- host: v1.echo.192.168.64.5.sslip.io
http:
paths:
- path: /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echo-v1
port:
number: 3000
---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echo-v1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echo
tier: app
version: v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echo
tier: app
version: v1
spec:
containers:
- name: echo
image: ghcr.io/subicura/echo:v1
livenessProbe:
httpGet:
path: /
port: 3000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echo-v1
spec:
ports:
- port: 3000
protocol: TCP
selector:
app: echo
tier: app
version: v1
Volume (local)
- 지금까지 만들었던 컨테이너는 Pod을 제거하면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했던 데이터도 모두 사라진다.
-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반드시 별도의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컨테이너를 새로 만들 때 이전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
- 쿠버네티스는 Volume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디렉토리를 외부 저장소와 연결하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하여 흔히 사용하는 대부분의 스토리지를 별도 설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empty-dir
: 컨테이너 내부 공유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sidecar
spec:
containers:
- name: app
image: busybox
args:
- /bin/sh
- -c
- >
while true;
do
echo "$(date)\\n" >> /var/log/example.log;
sleep 1;
done
volumeMounts:
- name: varlog
mountPath: /var/log
- name: sidecar
image: busybox
args: [/bin/sh, -c, "tail -f /var/log/example.log"]
volumeMounts:
- name: varlog
mountPath: /var/log
volumes:
- name: varlog
emptyDir: {}
hostpath
: 호스트 폴더와 공유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host-log
spec:
containers:
- name: log
image: busybox
args: ["/bin/sh", "-c", "sleep infinity"]
volumeMounts:
- name: varlog
mountPath: /host/var/log
volumes:
- name: varlog
hostPath:
path: /var/log
ConfigMap
- 컨테이너에서 설정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이미지를 빌드할 때 복사하거나,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외부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 쿠버네티스는 ConfigMap으로 설정을 관리한다.
global:
scrape_interval: 15s
scrape_configs:
- job_name: prometheus
metrics_path: /prometheus/metrics
static_configs:
- targets:
- localhost:9090
먼저, ConfigMap을 만들고 --from-file 옵션을 이용하여 file을 설정으로 만든다.
# ConfitMap 생성 (configmap == cm)
$ kubectl create cm my-config --from-file=config-file.yml
# ConfitMap 조회
$kubectl get cm
# ConfigMap 내용 상세 조회
$ kubectl describe cm/my-config
생성한 ConfigMap을 /etc/config 디렉토리에 연결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alpine
spec:
containers:
- name: alpine
image: alpine
command: ["sleep"]
args: ["100000"]
volumeMounts:
- name: config-vol
mountPath: /etc/config
volumes:
- name: config-vol
configMap:
name: my-config
volume을 연결하여 배포하고 확인한다.
$ kubectl apply -f alpine.yml
# 접속 후 설정 확인
$ kubectl exec -it alpine -- ls /etc/config
$ kubectl exec -it alpine -- cat /etc/config/config-file.yml
Secret
- 쿠버네티스는 ConfigMap과 유사하지만, 보안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Secret을 별도로 제공한다.
- ConfigMap과 차이점은 데이터가 base64로 저장된다는 점이다.
# secret 생성
$ 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db-user-pass --from-file=./username.txt --from-file=./password.txt
# secret 상세 조회
$ kubectl describe secret/db-user-pass
# -o yaml로 상세 조회
$ kubectl get secret/db-user-pass -o yaml
# 저장된 데이터 base64 decode
$ echo 'MXEydzNlNHI=' | base64 --decode
설정한 Secret을 환경변수로 연결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alpine-env
spec:
containers:
- name: alpine
image: alpine
command: ["sleep"]
args: ["100000"]
env:
- name: DB_USERNAME
valueFrom:
secretKeyRef:
name: db-user-pass
key: username.txt
- name: DB_PASSWORD
valueFrom:
secretKeyRef:
name: db-user-pass
key: password.txt
배포 후 환경변수를 확인한다.
$ kubectl apply -f alpine-env.yml
# env 확인
$ kubectl exec -it alpine-env -- env
참고사이트
- https://subicura.com/k8s/guide/service.html
- https://subicura.com/k8s/guide/ingress.html#ingress-만들기
- https://subicura.com/k8s/guide/local-volume.html
- https://subicura.com/k8s/guide/configmap.html
- https://subicura.com/k8s/guide/secret.html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