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Server
[Kube] Kubernetes - kubectl 명령어 (4)
Developer_Jay
2024. 7. 19. 00:25
728x90
본 게시글은 인프런 subicura 강사님의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강의 수강 후 작성한 내용입니다.
apply
: 원하는 상태를 적용한다. 보통 -f 옵션으로 파일과 함께 사용한다.
$ kubectl apply -f [파일명 또는 URL]
- -o : 출력 형태 변경 (wide, yaml, json)
- —show-labels: 레이블 확인
get
: 리소스 목록을 보여준다. get pod, service 와 같이 여러 TYPE 입력 가능하다.
$ kubectl get [TYPE]
describe
: 리소스의 상태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 kubectl describe [TYPE]/[NAME] 또는 [TYPE][NAME]
delete
: 리소스를 제거한다.
$ kubectl delete [TYPE]/[NAME] 또는 [TYPE][NAME]
logs
: 컨테이너 로그 확인
$ kubectl logs [POD_NAME]
- -f : 실시간으로 확인
- -c : pod에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있는 경우 컨테이너 지정
exec
: 컨테이너에 명령어를 전달. 컨테이너에 접근할 때 주로 사용함.
$ kubectl exec [-it] [POD_NAME] — [COMMAND]
- -c : pod에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있는 경우 컨테이너 지정
config
: kubectl 설정 관리. 관리하고 있는 쿠버네티스가 여러개일 때, 현재 컨텍스트를 확인하고 특정 컨텍스트로 변경 할 때
$ kubectl config current-context
$ kubectl config use-context minikube
기타
$ kubectl api-resources # 전체 오브젝트 종류 확인
$ kubectl explain pod # 특정 오브젝트 설명 보기
728x90